[소소+] '생각 천재'들은 어떻게 창의력 키웠을까?
상태바
[소소+] '생각 천재'들은 어떻게 창의력 키웠을까?
  • 박규빈 기자
  • 승인 2018.05.15 18: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책한권의 행복-생각의 탄생] 이건희 회장 완독 '유명세'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 빛낸 사람들의 생각도구 소개
루트 번스타인 “통합교과 학습이 융합사고력을 기르는 데 필요”
“현대시대는 전문가(expert)가 아닌 전인가(generalist) 면모 요구"
사진=에코의 서재

[책한권의 행복 - 생각의 탄생] <생각의 탄생>은 우리나라의 수많은 사회‧경제 지식인들이 추천한 명서다. 문과‧이과로 교육을 나누지 말고, 종합적 학문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하는 책으로도 유명하다. 이 책은 2007년 5월, 처음 한국에 들어왔다. 집필된 것은 9년 전인 1999년으로 미국에서는 ‘Sparks of Genius’라는 제목을 달고 세상에 나왔다. 저자는 ‘루트번스타인 부부’. 이들이 저술한 책은 5권이나 더 있지만 우리나라의 번역본은 <생각의 탄생>이 전부다. 2007년 업계와 언론을 통해 ‘올해의 책’으로 선정될 정도로 유명세를 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판사에서 이 작가의 책들을 번역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국내 출판업계는 크게 주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보면 출판업계의 <생각의 탄생> 초기 마케팅은 성공했다고 볼 수 없다. 차츰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더니 국내 언론과 사회 각계 유명 인사들이 일독을 권하면서 재평가 되기 시작했다. 문화심리학의 거장 김정운, ‘시골의사’ 박경철,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등이 이 책을 추천했다. 이어령 중앙일보 고문은 “내가 써야 할 책이 이미 나왔구나!” 하고 추천사를 쓰기도 했다. 화룡점정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찍었다. 이 회장이 ‘생각의 탄생’을 완독해 계열사 임직원들 역시 이 책을 따라 읽거나, 요약본을 읽는다는 풍문이 돌기도 했다. 삼성경제연구소(SERI)가 CEO 추천도서 목록 중에 ‘생각의 탄생’을 넣은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번역본이 출간된 2007년, 당시 이 책은 업계와 언론을 통해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며 대형서점의 매대 한 켠을 장악했다. 여세를 몰아 ‘에코의 서재’는 청소년들을 겨냥한 ‘주니어 생각의 탄생’을 내놓기도 했다. 

책 제목처럼 ‘생각의 탄생’은 ‘생각을 창조적으로 하기’를 다룬 도서다. 중세 유럽의 귀족들은 돈과 시간은 많은데 할 일이 없어 심심해서 책상머리에 앉아 공부를 했다. 이것이 학문의 시초인데, 이렇게 시작한 학문이 시간이 지나며 다분화 됐다. 그럼에 따라 자연스레 인문사회와 자연과학 분야의 간극이 생겼다. 그 개념이 우리나라로 수입돼서는 흔히 ‘문과’와 ‘이과’로 갈렸다. 그런데 이 책은 현재 한국 교육계 핫 트렌드인 문·이과 통합을 예언하기라도 하듯, 이미 출간 시점에 학문의 경계를 넘어선 학문적 이해 내지는 종합적 이해를 추구하고 지향했다.

음악가는 음표를, 작가는 워딩을 쓴다. 각 분야의 현업에 있는 사람들이 결과물을 만들어내는데 필요한 각자의 도구를 사용하듯 ‘창조적 사고’의 뿌리와 이를 키워내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책은 마사 그레이엄, 레오나르도 다빈치, 데이비드 호크니, 파블로 피카소 등 해당 분야 최고 권위자들이자 창의적 인간들을 예로 든다. 그러면서 관찰, 형상화, 추상화, 패턴 인식, 유추 등 사고 도구의 사용법을 제시해 마지막으로는 ‘통합’을 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이 시대의 교육이 만들어 내야 하는 것은 '전문가(expert)가 아닌 전인(全人, generalist)'이라고 역설한다.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교수는 2016년 한 국내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이전에는 전혀 겪어볼 수 없던 문제의 해결을 위해 창의력이 점점 중요해진다”며 “그저 문제 해결이 아닌, 어느 상황에 놓여있는지를 먼저 알고 해결하려면 새로운 창의적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예술은 이를 완벽하게 뒷받침해주는 방법들 중 하나“라며 (문·이과) 통합교과 학습이 융합사고력을 기르는 데 필요하다”고 발언한 바 있다.

‘생각의 탄생’이 다소 늦게 국내에 소개되긴 했지만, 뒤늦게 인기를 끈 이유는 따로 있다. 2007년 당시는 국내 기업들이 ‘창의적 사고’를 절대 가치로 내세워 경영에 접목하고자 했던 시기였다. 비슷한 시기에 ‘시크릿’, ‘이기는 습관’, ‘대한민국 20대 재테크에 미쳐라’ 등이 서점가의 베스트셀러였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